반응형

2025/05/30 2

동양화에서 그림자를 그리지 않는 이유는?

서양화를 보며 감탄하다가 동양화를 보면, 의외로 허전하다고 느껴본 적 있으신가요?특히 인물이나 사물이 분명히 묘사되어 있는데도, 그림자가 전혀 없는 것을 보고"이건 덜 그린 건가?""왜 저기엔 명암이 없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건 단순히 표현 방식의 차이가 아닙니다.동양화에서 '그림자를 그리지 않는 것'은 철저히 의도된 표현이며,그 안에는 깊은 철학이 담겨있습니다. 오늘은 동양화에 그림자가 없는 이유를미술사적, 철학적 관점에서 함께 풀어보겠습니다. 1. 동양화는 '보이는 그대로'가 아닌 '느껴지는 것'을 그리는 예술 서양 미술은 고대 그리스 부터 인체 비례와 사실성을 중시해 왔습니다.르네상스 이후에는 과학적 원근법, 명암법, 투시법까지 발달하면서 시각적으로 실제와 거의 유사한 재현이..

그림이야기 2025.05.30

기운생동(氣韻生動)이란 무엇인가?

동양화를 감상할때 자주 듣게 되는 말 중 하나가 바로 기운생동(氣韻生動)입니다.직역하면 '기운(氣)이 살아서 움직인다(生動)'는 의미인데, 단순히 생동감 넘친다는 말보다 훨씬 더 깊은 뜻을 지닌 용어입니다.이 개념은 동양화의 미학을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는 철학이자, 동양예술이 서양과 다르게 발전해 온 이유를 잘 보여주는 말이기도 합니다. 기운생동, 어디서 나온 개념일까? 기운생동은 남제(南齊)의 사혁(謝赫)이 정리한 회화론 육법((六法 )의 첫번째 항목입니다.육법은 다음과 같습니다.기운생동(氣韻生動) – 기운과 생동감골법용필(骨法用筆) – 뼈대를 만드는 붓의 법도응물상형(應物象形) – 사물의 형상을 잘 잡아내는 것수류부채(隨類賦彩) – 대상에 따라 색을 맞추는 것경영위치(經營位置) – 화면 구도의 조..

그림이야기 2025.05.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