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채색화 4

동양화 채색화 종이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

동양화는 종이 위에 생명을 불어넣는 예술입니다. 특히 채색화에서는 종이의 질감과 흡수력, 강도 등이 색감 표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떤 종이를 사용하는가는 작품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습니다. 수묵화와 달리 채색화는 안료의 중첩, 아교의 접착력, 색의 발색력 등 세심한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하므로 종이 선택은 더욱 까다롭습니다. 이 글에서는 동양화 채색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주요 종이들인 장지, 이합장지, 삼합장지, 순지, 옻지, 비단의 특성과 용도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장지 - 전통 채색화의 중심장지는 한지의 일종으로, 닥나무 섬유를 주 원료로 하여 뜬 종이입니다. 질기고 보존성이 높아 예로부터 문서, 서예, 동양화에 두루 사용되었으며, 채색화에서는 기본이 되는 종이로 손꼽힙니다...

그림이야기 2025.06.26

한국에 동양화 채색화는 언제 유입되었을까?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한국의 전통 그림은 수묵화, 즉 먹으로 그려진 그림입니다. 하지만 짙은 색감과 화려한 표현을 특징으로 하는 ‘채색화’도 오랜 역사와 깊은 예술성을 지닌 화풍입니다. 그렇다면 이 채색화는 언제부터 한국에 들어와 발전하게 되었을까요? 오늘은 동양 채색화가 한국에 본격적으로 유입된 시기와 그 특징들을 시대 흐름에 따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채색화의 유입 - 고려후기, 불화를 통해 시작되다채색화(彩色畫)는 동양화에서 색채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기법으로, 중국 송·원나라 회화에서 비롯되어 발전해 왔습니다. 한국 유입 시기: 고려 후기 (13세기 무렵) 고려 시대는 불교가 국가의 중심 이념이었기 때문에 불화(佛畫)가 크게 발달했습니다.이 불화를 그릴 때, 비단 위에 진한 색을 써서 신성..

그림이야기 2025.06.25

동양화 채색화 종이의 세계 : 장지부터 비단까지, 바탕이 작품을 만든다.

채색 동양화에서 ‘종이’는 단순히 그림을 그리는 바탕이 아니라, 표현의 깊이와 색감, 지속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석채, 분채, 봉채 등 다양한 안료를 사용하는 채색화에서는 종이의 물성과 호흡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채색화에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전통 종이들, 즉 장지, 이합장지, 삼합장지, 순지, 옻지, 비단의 특징과 장단점, 그리고 실제 활용법까지 소개합니다. 1. 장지 : 채색화의 기본이 되는 종이장지는 한국 전통 종이 중 하나로, 닥나무 섬유를 기본 원료로 만든 종이입니다. 오랜 시간 수작업으로 만들어 내구성과 통기성이 우수하며, 부드러운 질감과 적절한 흡수력이 특징입니다. 장지의 특징흡수력 좋고 적당한 번짐안료가 잘 스며들며 색이 자연스럽게 퍼짐아교포수를 했을때에 반복..

그림이야기 2025.06.14

민화는 채색화일까? - 동양화 채색화와 민화의 관계

동양화와 관련된 대중적인 오해 중 하나는 “채색화 = 민화”라는 등식입니다. 동양화에서 색이 들어간 그림을 보면 “이거 민화네”라고 단정 짓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 나아가 “민화는 채색화의 한 갈래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죠. 하지만 이는 동양화, 특히 채색화와 민화의 역사적 맥락과 개념을 혼동한 결과입니다. 이 글에서는 전통 동양화의 ‘채색화’와 민속 회화인 ‘민화’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현대 민화의 흐름이 이 둘 사이에 어떤 접점을 형성하는지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채색화란 무엇인가? — ‘기법’ 중심의 정제된 회화동양화에서 채색화(彩色畵)란, 수묵화와 달리 색을 중심으로 표현한 회화를 말합니다. 주로 천연 광물 안료인 석채(石彩), 식물성 안료, 금니(金泥), 은니 등을 사용해 비..

그림이야기 2025.06.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