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통회화 2

구륵법과 몰골법 - 선으로 그릴 것인가 색으로 말할 것인가

동양화에는 수많은 표현 기법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회화의 근본을 이루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바로 구륵법(鉤勒法)과 몰골법(沒骨法)이다. 이 두 기법은 단순한 붓놀림의 차이를 넘어서, 그림에 담긴 철학과 세계관, 그리고 화가의 태도까지 반영한다. 이 글에서는 구륵법과 몰골법의 정의부터 역사, 표현 특징, 대표 작가, 현대 동양화에 미친 영향까지 깊이 있게 살펴본다. 1. 구륵법이란? ● 정의구륵법은 ‘선을 긋고 그 안을 채색하는 기법’이다. ‘구(鉤)’는 윤곽선을 긋는다는 뜻이고, ‘륵(勒)’은 그 선을 다듬어 형태를 명확히 한다는 의미다. 쉽게 말하면 밑그림을 그리고 그 안을 색으로 채우는 방식으로, 동양화 중에서도 특히 정밀화, 공필화에서 자주 사용된다. ● 특징• 윤곽선이 뚜렷하게 살아 ..

그림이야기 11:04:20

민화는 채색화일까? - 동양화 채색화와 민화의 관계

동양화와 관련된 대중적인 오해 중 하나는 “채색화 = 민화”라는 등식입니다. 동양화에서 색이 들어간 그림을 보면 “이거 민화네”라고 단정 짓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 나아가 “민화는 채색화의 한 갈래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죠. 하지만 이는 동양화, 특히 채색화와 민화의 역사적 맥락과 개념을 혼동한 결과입니다. 이 글에서는 전통 동양화의 ‘채색화’와 민속 회화인 ‘민화’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현대 민화의 흐름이 이 둘 사이에 어떤 접점을 형성하는지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채색화란 무엇인가? — ‘기법’ 중심의 정제된 회화동양화에서 채색화(彩色畵)란, 수묵화와 달리 색을 중심으로 표현한 회화를 말합니다. 주로 천연 광물 안료인 석채(石彩), 식물성 안료, 금니(金泥), 은니 등을 사용해 비..

그림이야기 2025.06.01
반응형